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2022 개편, 향후 전망 "특목·자사고 유리, 선택과목 로또 생길 수도?"

교육부가 발표한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방안'에 대한 입시전문가 분석
   

교육부가 17일 수능 위주 전형의 비중을 30% 이상 확대하도록 대학에 권고하고 수능 출제과목에 기하 및 과학Ⅱ 과목을 포함시키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발표했다. 이와 같은 교육부 발표에 대해 입시전문가들은 대체로 “2019학년도 및 2020학년도 입시와 비교해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 특목·자사고, '학생부종합과 수능' 두 마리 토끼 잡나 

국가교육회의는 권고안에서 수능 위주 전형의 비율을 못 박지 않았지만, 교육부는 각 대학에 수능 위주 전형의 비율을 30%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했다. 이 역시 권고사항이지만, 교육부가 권고 이행 여부를 대학 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하기로 한 만큼 대부분의 대학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대교협에서 발표한 2020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의하면, 정시 수능 위주 전형 선발비율이 서울대 20.4%, 연세대 27.0%, 고려대 16.2%, 이화여대 20.6%, 서강대 33.1%, 성균관대 31.0%, 한양대 29.4% 중앙대 25.4%이다”라면서 “수능 위주 전형의 비율이 낮은 서울대와 고려대 등이 선발 비율을 30% 이상으로 늘리면, 2022학년도 입시부터는 정시모집 전체 선발 비율이 수시에서 이월된 인원까지 포함해 35∼40% 정도가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서울대, 고려대 외 다른 주요 대학들은 현재 정시 선발 비율이 30% 근처에 머물러 있다”면서 “1년 유예와 공론화 과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와 비슷한 개편안을 만들어낸 것은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이사는 “이제 모든 것이 대학의 결정에 달려 있다. 정시 비율을 30% 이상으로 늘릴 수도 있고, 반대로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비중을 30% 이상 늘려 정시를 줄일 수도 있다”면서도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들은 학생부종합과 논술을 줄이면서 정시 수능 위주 확대로 방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임성호 대표이사는 이어 “오늘 발표된 2022 대입 개편안은 현재 중3을 대상으로 하지만, 정시 확대 기조는 현재 고1부터 선제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재 고1(2021학년도)들이 치를 2021학년도 대학별 입시전형계획안이 내년 4월 말에 발표되는데, 이 전형계획안이 대학별 정시 확대 정도를 가늠할 큰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와 같은 수능 위주 전형의 확대가 입시 환경에 미칠 변화에 대해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연구소장은 “정시 수능전형 비율 확대로 내신이 불리한 특목·자사고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면서 “2019학년도보다 수능 위주 전형 선발 인원이 3-5만여 명 늘어나면서 수능 사교육 시장이 다시 활발해지고, 정시 확대로 재수 학원도 활성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영덕 소장도 “학생부 교과(내신)가 불리한 특목고나 자사고 학생들이 수능으로 정시를 갈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면서 이들 학교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면서 “이들 학교는 수시모집의 학생부교과전형에선 불리하지만 비교과 관리를 잘 하면 수시모집의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 위주로 선발하는 정시모집을 통한 진학 기회를 동시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지금보다 오히려 더 유리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아랍어 로또’ 사라진 자리에 ‘선택과목 조합 로또’ 생기나 

입시전문가들은 이번 개편으로 현재 중3이 대입 제도와 관련해 겪게 될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로 ‘복잡한 수능 과목구조’를 꼽았다.  

일단 교육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2학년도 수능에서 국어·수학·직업탐구영역에 공통+선택형 구조가 도입된다. 공통 과목은 모든 학생이 동일하게 응시하는 반면 선택 과목은 학생의 진로와 적성, 진학 계열에 따라 달리 선택해 응시하는 것. 탐구영역의 경우 문·이과 구분 없이 사회 9개 과목, 과학 8개 과목 등 총 17개 과목 중 두 과목까지 선택해 응시하게 된다. 수능 출제범위에는 기하와 과학Ⅱ 4개 과목이 포함된다.

이만기 소장은 “선택과목을 조합하는 경우의 수가 수백 개에 이르면서 수험생들이 과목 선택에 어려움 겪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선택 과목에 따른 유불리 논란은 피하기 어려워 보이며, 특정과목 쏠림 현상도 여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병진 소장 또한 “상대평가체계에서 중요한 것은 응시 인원수와 응시 집단의 성격인데, 탐구영역만 해도 17개 과목 중 2개를 자유롭게 선택할 경우 학습의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과목으로 인원이 쏠릴 수밖에 없다”면서 “특정 과목에 쏠림 현상이 나타나면 난이도와 점수 산정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봤다.

실제로 현재도 과목별 유·불리에 따라 특정 과목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수능에서 사회탐구 선택과목으로 ‘생활과 윤리’와 ‘사회·문화’를 선택한 비중은 각각 60.4%, 55.9%로 나타난다. 반면 경제 과목은 2%에 불과했다. 과학탐구에서도 ‘생명과학Ⅰ’과 ‘지구과학 Ⅰ’을 선택 응시한 인원의 비중이 60% 이상이었던 반면, 공과대학 진학자의 필수 기초과목으로 분류되는 ‘물리Ⅱ’ 과목은 단 1.2%만 선택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또 있다. 이러한 과목구조에 대해 교육부는 “문·이과 통합 취지에 따라 학생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지만, 선택과목의 조합이 너무 다양해서 오히려 대학이 모집단위 및 계열별로 지정 선택과목을 둘 수 있다는 것. 이 경우 문·이과의 구분이 오히려 지금보다 더 공고해질 수 있단 분석이다.

임성호 대표이사는 “수능 수학의 경우 이과에서 선택과목으로 미적분과 기하, 문과에서 확률과통계를 선택하면, 기존의 수학 가형, 나형 구분과 유사해진다”면서 “이 경우 사실상 현행 문·이과 체제와 달라진 바가 없게 되는 셈인데, 결국 대학의 결정에 따라 현행처럼 문이과 유지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영덕 소장 역시 “상위권 일부 대학들의 자연계 모집단위에서 탐구영역 중 과학 1과목을 반드시 선택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영덕 소장은 “학령인구가 계속 줄고 있기 때문에 수험생 수 감소 등으로 학생 모집의 어려움을 겪는 대학 입장에서 특정 과목을 반드시 선택하도록 지정하기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