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1 (목)

  • 구름조금동두천 6.5℃
  • 맑음강릉 4.7℃
  • 맑음서울 7.0℃
  • 맑음대전 7.6℃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9.5℃
  • 맑음부산 8.2℃
  • 맑음고창 6.7℃
  • 맑음제주 9.0℃
  • 맑음강화 4.3℃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1℃
  • 맑음강진군 9.1℃
  • 맑음경주시 6.7℃
  • 맑음거제 8.1℃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학종 A to Z]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볼까?

-Q1.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중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무엇인가요?
-Q2.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을 정성적으로 평가한다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학종은 내신 등급과 학업태도를 종합적으로 평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는 '학교생활기록부'이다.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를 보고 '정성적 평가'로 학생의 역량을 판단한다. 그런데 이 '정성적 평가'라는 말 때문에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를 보고 어떻게 평가하는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가늠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를 어떻게 평가하고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보는지 함께 알아보자. 



Q1.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중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무엇인가요? 

좋은 학생부란, 3년간 적극적이고 충실한 '학교생활' 모습을 담아낸 서류 


학교생활기록부는 다수의 교사가 참여해 작성한 객관적인 서류로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평가 자료입니다. 좋은 학교생활기록부란 3년간의 적극적이고 충실한 학교생활의 모습을 담아낸 서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학교생활기록부를 평가할 때 어떤 항목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듣곤 합니다. 기본적으로 학교생활기록부는 각각의 항목별로 독자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떤 항목이 덜 중요하다거나 또는 더 중요하다는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를 보고 학생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떤 경우는 출결사항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정보가 될 수 있고, 발전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특정 학교생활기록부 요소가 학생 이해의 결정적인 열쇠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학교생활기록부의 모든 항목이 다 중요하면서 의미 있는 평가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입학사정관은 학생부 개별 항목을 '상호 연관 관계' 속에서 해석한다 


학교생활기록부를 기록할 때는 재학 중 학생의 학교 교육활동 결과를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구체적으로 입력하되 학생 개인의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기록된 학교생활기록부를 평가할 때에는 평가요소별로 학교생활기록부 항목을 상호 연관 관계 속에서 해석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학업역량을 평가할 때는 학교생활기록부에서 수상경력, 창의적체험활동, 교과학습 발달사항,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독서활동,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전반적인 고등학교 학업활동을 고려하는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인성적 요소를 평가할 때는 수상경력, 창의적체험활동,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해석을 하게 됩니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학교생활기록부의 각 항목들은 평가를 할 때 독자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므로 각각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종은 '종합적 평가'…개별 항목 모두가 독자적 의미 지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중 중요하게 바라보는 요소를 꼽는다면 평가 항목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찾을 수가 있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에는 학업역량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들이 있지만 특히 학업성취도와 교과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이 담고 있는 정보가 많다 보니 그 요소가 집중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때도 수상경력과 독서활동상황, 동아리활동,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에 드러나 있는 지적 역량과 관련된 요소 등도 상호 관련 속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전공적합성을 평가할 때는 전공 관련 교과의 성취도와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동아리활동과 진로활동, 독서활동 등의 요소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게 됩니다.

이처럼 학교생활기록부를 평가할 때는 평가요소와 관련해 집중적으로 해석을 하게 되는 요소가 있을 수는 있지만 어느 요소가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에 대한 단선적인 판단을 하지는 않습니다. 결국 학생부종합전형 평가는 종합적 평가이기 때문에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모두가 중요한 독자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Q2.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을 정성적으로 평가한다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학업역량은 '내신 등급'으로만 평가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은 석차등급을 활용해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의 산출 방식이 아닌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성취도, 수강자수, 석차등급, 이수교과목 등을 고려해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정성평가 방식을 취합니다.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으로는 학생의 학업역량을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정량적으로 산출된 교과 성적만으로 학생의 학업역량을 모두 평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교과 성적 평균이 2.5등급인 두 명의 지원자가 있습니다. 대학의 평가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석차등급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을 따르면 두 명의 지원자 모두 같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한명은 ‘우수’, 다른 한명은 ‘보통’의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두 지원자의 눈에 보이는 평균 등급은 2.5등급으로 동일하지만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수강자수, 이수교과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학종은 내신 등급과 학업태도를 종합적으로 평가 


성취 기준의 수준이 높아 많은 학생들이 꺼려해 수강자수가 적은 과목을 수강한 경우라면 눈에 보이는 석차등급은 낮을 수 있으나 교과를 선택하고 수강하는 과정에서 보인 지적 호기심, 자기주도성 등은 높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즉 석차등급을 받게 된 환경과 그 교과를 수강하면서 보여준 지원자의 학업태도 및 의지가 종합적으로 학업역량 평가에 반영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교과 성적을 평가하는 방식이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성적 평가 방법입니다. 

교과 성적은 수상경력,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독서활동상황 등과 함께 학업역량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학생부종합전형 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의 특정 영역의 우수성만으로 합격과 불합격이 판정되지 않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여러 항목과 함께 다면적으로 평가해 지원자가 대학에서 학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기초 수학 능력을 판단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환경에서 학업적인 성장과 성취를 보일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학생부종합전형 101가지 이야기 (건국대, 경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등 6개 대학 공동연구)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19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