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722개 공간정보 사업에 3133억 투자…일자리 창출

2017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4차 산업혁명 핵심 기반 육성

국토교통부는 올해 국가공간정보사업 활성화를 위해 총 722개의 공간정보 사업에 3133억 원을 투자한다.

국토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고 공간정보 관련 산업이 제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간정보는 길 찾기, 택시·철도 등 교통이용, 가상현실 게임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는 위치, 경로, 시점 등에 관한 정보로서 최근 자율주행차, 무인기(드론) 등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핵심 기반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

이번에 확정된 ‘2017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은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제5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방향에 따라 각 부처와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연차별 시행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총 722개의 공간정보 사업에 3133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전년도 예산액보다 152억 원이 증가된 것으로 미래 유망산업 발전 기반으로서 이미 길안내기 등을 통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공간정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제5차 기본계획(2013~2017)의 7대 추진전략에 따라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활용성이 높은 84개 시 도심지역과 공항, 지하철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3차원(3D) 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단계적으로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확정된 시행계획에는 고품질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3차원 공간정보를 지속 구축하는 사업(54억 8500만 원)이 포함된다. 또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통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포털을 구축하고 공공·민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계 지리 정보 서비스(S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사업(50억 9600만 원) 등도 함께 진행된다.

아울러 내년도 평창 동계올림픽을 ‘K-ICT(정보통신기술) 올림픽’으로 개최하기 위해 올림픽 경기장, 선수촌 등 관련 시설에 대한 실내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청년 창업 지원을 위해 창업자금 및 사무 공간 제공 등 지원범위를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다양한 수요자 의견수렴을 거쳐 중장기 공간정보 연구개발(R&D)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공간정보 분야에 특성화된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창의인재 양성 사업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위원회에서는 ‘제1차 국가공간정보센터 운영계획’도 함께 심의·확정했다.

그동안 국가공간정보센터(이하 NS센터)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한데 모아 민간 등에서 쉽게 활용하도록 제공하는 중심축 역할을 해 왔다.

운영계획에는 국가공간정보가 보다 활발하게 활용되기 위해 필요한 NS센터의 향후 3년간 추진 과제가 담겼다.

국가공간정보센터 발전방향
국가공간정보센터 발전 방향. (제공=국토교통부)

공간정보 클라우드를 구축해 민간에서 별도의 프로그램과 전산장비 구매 없이 공간정보를 활용한 모바일 앱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감지기와 통신 등 기술발달에 따라 새롭게 생산되는 CCTV, 교통량, 인구이동과 같은 사물인터넷 정보 수집 및 유통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가공간정보 신뢰성 확보를 위해 공간정보 생산 기관과의 실시간 데이터 갱신 체계를 확대하고, 수집된 정보에 대한 품질관리도 강화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시행계획 발표를 통해 4차 산업혁명 등 세계경제 체계 변화에서 공간정보 관련 산업 육성을 선도해 나가는데 정부가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민간의 참여와 활용을 이끌어 냄으로써 고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에도 더욱더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과 044-201-3465

2017.04.04 국토교통부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