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유·초등

“엄마 아빠가 지켜줄게” “못해도 괜찮아” 아이 불안 줄이는 한마디

걱정·불안 심한 아이, 어떻게 도와야 할까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을 둔 김성연(가명·40)씨 부부는 요즘 아이 때문에 걱정이 많다. 한 달 전쯤부터 아이가 “동물(또는 사물)과 영혼이 바뀌면 어떻게 하느냐”거나 “아빠가 로봇으로 변할까 봐 무섭다”며 하루에 대여섯 번씩 전화를 걸어서다. 처음에는 우스갯소리로 듣고 넘겼지만, 이런 증상이 한 달 가까이 계속되자 걱정이 커졌다. 김씨는 “아이가 한 달 전쯤 주인공이 애벌레와 영혼이 바뀌는 내용의 애니메이션을 봤는데, 그때부터 자꾸 이런 생각이 들어 무섭다고 하더라”며 “어른이 듣기엔 농담 같지만, 아이가 울먹이며 전화할 정도로 무서워해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초등학교 4학년 딸을 둔 안진영(가명·43)씨도 최근 김씨와 비슷한 경험을 했다. 어느 날엔가 아이가 시무룩한 표정으로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하기에 이유를 물었더니, 아이가 “북한과 전쟁이 날까 봐 무섭다”고 대답했다. 안씨 부부도 처음엔 “어린아이가 별 걱정을 다 한다”며 웃어넘겼다. 하지만 아이는 관련 뉴스나 기사 등을 볼 때마다 더 심각한 반응을 보였다. 안씨는 “며칠 지나면 괜찮아지지만 관련 내용을 보거나 들으면 다시 불안해 한다”며 “‘그런 일은 없다’고 다독여도 별 효과가 없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위 두 사례처럼 유·초등 자녀의 불안 증세 때문에 걱정하는 부모가 적지 않다. 하지만 이런 증세를 아이들이 자라면서 으레 거쳐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해 무심히 넘기는 경우도 많다. 유초등 시기에는 무언가를 무서워하는 일이 잦은 데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 보내면서 가벼운 분리불안 증세를 경험한 부모가 많아서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손석한 연세신경정신과의원 원장은 “유아나 초등학생들이 무서운 영화나 소설, 뉴스를 보고 자기 상황(현실)에 대입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는 매우 흔하다. 하지만 보통은 하루 이틀 뒤 그 생각에서 벗어나고, 길어도 일주일을 넘기지는 않는다. 만약 같은 증세가 한 달 이상 지속된다면 ‘소아기 불안장애’를 의심하고, 전문의 등과 상담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미세먼지·전쟁·교통사고 등 매일 다른 일에 대해 걱정(범불안장애)하거나 ‘엄마가 밖에서 사고 당해서 다치면 어떡해?’처럼 한 가지를 지속적으로 걱정(강박)하는 아이도 마찬가지다.

아이의 불안 증세를 줄이는 데는 가정에서 부모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선 (불안을 일으키는 요소에 따라 다르지만) “엄마 아빠가 너를 지켜줄 거야” 등의 말로 아이를 안심시키고 믿음을 줘야 한다. 아이의 불안을 키울 만한 것은 가급적 말하거나 보여주지 말고, 긍정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게 좋다. “부모 가운데 아이에게 ‘밖에 나가면 사고 나지 않게 조심하라’는 등의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어요. 물론 안전을 위해서 어느 정도 주의를 줘야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자주 하는 것은 아이의 불안을 키울 수 있으니 조심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가 불안을 느끼는 요소에 대해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차분하게 설명해 주는 것도 방법이다. 예컨대 특정 동물과 몸이 바뀌는 걱정거리에 대해 ‘OO과 사람은 종(種)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몸이 바뀔 수 없다’고 이야기해 주는 식이다. 더불어 아이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많이 갖고, 아이 이야기를 잘 들어줘 불안을 털어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이가 불안할 때, 이를 다스릴 수 있는 행동을 만들어주는 것도 좋다. 운동이나 책 읽기, 음악 듣기 등 다양한 일을 함께 해보며 불안을 넘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단 이때 아이를 비난하거나 야단치는 것은 금물이다. 부모가 “그렇게 겁이 많아서 무슨 일을 하겠느냐” “그런 것도 못 이겨내면 어떡하느냐” 등의 말로 비난하면 아이는 더욱 불안을 이기기가 어렵다. 부모가 먼저 자기 마음을 잘 다스리고, 차분한 태도로 아이를 대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래야 그런 부모 모습에서 아이도 자기의 불안 다스리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시험이나 발표 등을 앞두고 ‘잘하지 못할까 봐’ 걱정하는 아이도 많아요. 실제로 준비를 잘하고도 이런 불안 때문에 시험·발표를 망치기도 하고요. 이 역시 같은 일이 여러 차례 반복되면 불안 장애의 하나로 봐야 합니다. 이럴 때 ‘너는 왜 그렇게 담대하지 못하느냐’고 꾸짖으면 안 돼요. ‘못해도 괜찮다’며 결과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게 좋습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