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추석 '지방 쓰는 법' 맨 위에는 '나타날 현(顯)'자



[뉴스에듀] 최장 9일간의 황금연휴 추석을 맞아 '지방 쓰는 법'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방은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실때 적는 종이를 뜻한다. 


 지방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현(顯) △제사를 지내는 사람(제주)와의 관계 △조상의 직위 △이름 △신위(神位) 순서로 작성한다. 


지방 맨 위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다.


현(顯)’자 뒤에는 제주와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어미 비(妣)'를 쓴다. 제주의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조고(祖考)'와 '조비(祖妣)', 증조할아버지·증조할머니는 '증조고(曾祖考)'와 '증조비(曾祖妣)', 고조할아버지·고조할머니는 '고조고(高祖考)'와 '고조비(高祖妣)'를 쓴다. 


직위를 쓰는 법은 고인이 벼슬을 지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쓰고,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쓴다. 


직위 아래에는 이름을 쓴다.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쓴다. 


지방의 맨 아래에는 고인의 영혼이 머무는 자리라는 뜻으로 신위(神位)를 쓴다. 


본 기사는 <뉴스에듀> 출처와 함께 교육목적으로 전재·복사·배포를 허용합니다.(단, 사진물 제외)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aha080@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