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대학

오영훈 의원, “대학 입학전형료 반환 효과 미미, 실효성 있는 인하 정책 추진 필요”

교육부는 2013년 학생・학부모의 대학 입학전형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입학전형료 반환 규정’을 도입했으나, 최근 3년(2015~2017학년도) 연간 1500억원 가량의 입학전형료 수입 중 반환액은 약 4% 대(약 70억 원대)에 불과해 입학전형료 부담 완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오영훈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제주시을)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5~2017학년도 대학 입학전형료 수지 및 반환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오 의원은 “교육부는 입학전형료 부담 완화를 위해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를 위해선 반환 규정 이외에 실효성 있는 추가 조치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200여 대학이 매년 벌어들인 입학전형료 수입은 2015년 1559억원, 2016년 1582억원, 2017년 1592억원이었다. 그러나 반환액은 각각 77억원(4.9%), 73억원(4.6%), 77억원(4.9%)에 불과했다. 

반환액은 대부분이 사유별 반환액이었다. 사유별 반환액은 △과오납 △천재지변 △질병・사고 △단계별 전형 중 불합격 등을 사유로 돌려주는 금액으로, 2015년 66억원(85.9%), 2016년 71억원(96.9%), 2017년 75억원(96.8%)이었다. 사유별 반환액 중에서는 ‘단계별 전형’ 사유 반환액이 절대적이었다. 다시 말해, 단계별 전형에서 불합격한 학생들에게 돌려주는 반환액 외에 반환은 거의 없다고 오 의원은 밝혔다. 

사유별 반환액은 성격 상 응당 수험생들에게 돌려줬어야 할 금액이거니와, 사유에 해당하는 수험생에게 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입학전형료 부담 완화 효과가 적다고 할 수 있다. 입학전형료 부담을 줄이려면, 입시전형 결과 쓰고 남은 ‘집행 잔액’을 많이 돌려줘야 하는데 ‘집행 잔액’ 반환액은 2015년 11억원, 2016년 2억원, 2017년 2억원에 불과하다. 

대학별 반환 현황을 보면, ‘집행 잔액’을 돌려 준 대학은 아주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202개 대학 중 집행 잔액을 반환한 대학은 수시모집 10교(5.0%), 정시모집 7교(3.5%), 추가모집 7교(3.5%) 뿐이었다. 입학전형료 반환 제도 도입 첫 해였던 2015년에 반환 대학이 조금 더 많았으나 2016년은 2017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적게라도 입학전형료를 반환한 대학은 그나마 다행이다. 입학전형료 반환액이 한 푼도 없는 대학도 적지 않다. 2017년 수시모집 47교(23.3%), 정시모집 120교(59.4%), 추가모집 186교(92.1%)는 입학전형료 반환액이 한 푼도 없었다. 이전 해에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입학전형료 반환액이 별반 없다는 것은 대학이 입학전형료 수입을 모두 소진해 반환할 잔액이 남아있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3년, 입학전형료 수입・지출 현황을 살펴보면, 대학은 매년 1500억원 대의 입학전형료 수입을 벌어들였지만, 입학전형 관련 지출 후 잔액은 2015년 26억원(1.7%), 2016년 34억원(2.1%), 2017년 32억원(2.0%)이었다. 수입액을 완전 소진했다고 볼 수 있으며, 반환할 금액이 거의 없는 이유다.

다음은 2017학년도 입학전형료 수입이 30억원 이상인 대학이다. 경희대는 70억원으로 가장 많은 입학전형료 수입을 올렸고, △중앙대 63억원 △고려대(서울) 56억원 △성균관대・인하대・가천대 40억원 대 △한양대(서울)・단국대・연세대(서울)・건국대(서울) 30억원 대의 수입을 올렸다. 이들 10개 대학의 입학전형료 수입은 463억원이나 된다. 그러나 입학전형 후 남은 지출 잔액은 12억원(2.5%)에 불과하다. 건국대(서울)와 한양대(서울)는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아 잔액이 마이너스다. 오 의원은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집행 잔액’ 반환액은 ‘0원’”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2013년 ‘입학전형료 반환 규정’을 도입하면서, 입학전형 지출 항목도 12개로 규정해 대학들이 이에 맞춰 쓰도록 했다. 2017년 입학전형료 지출 내역을 보면, 전체 지출액 1560억원 중 수당이 526억원으로 3분의 1(33.7%)가량을 차지하며, 홍보비가 274억원(17.5%), 위탁수수료가 221억원(14.2%)를 차지한다.

오 의원은 “입학전형 지출을 12개 항목으로 나눈 것은 합리적 지출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반환액을 늘려 입학전형료 부담을 낮춰 보자는 의도였을지 모르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무런 효과도 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입학전형 지출 규모를 비교하기 위해, 입학정원이 3000명 이상인 대학을 국・공립과 사립으로 나눠 지출 내역을 살펴보았다. 대학 당 지원자 수는 사립대가 국・공립대보다 1.8배 많았고, 수입액은 사립대가 3배 많았다. 사립대 입학전형료가 더 비싸기 때문에 수입이 더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수입이 더 많으면 반환액이 많을 것 같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다. 사립대학이 국・공립대학보다 몇 배 더 많은 지출을 했기 때문이다. 대학 당 사립대학은 국・공립대학보다 △수당 3배 △홍보비 10배 △식비・인쇄비 4배 △업무위탁 수수료 3배 △여비 2배 △주차료 57배 △시설사용료를 6배 더 지출했다. 따라서 수험생들에게 반환한 ‘집행 잔액’은 국・공립대나 사립대 모두 없다. 

‘입학전형료 반환 제도’는 입학전형료 운영 현황을 투명화하고, 반환 사유와 근거를 마련해 입학전형료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실제 입학전형료 잔액이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뚜렷한 한계를 보인다. 최근 교육부는 대입 전형료 부담이 여전하다며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입학전형료 반환 이외에 입학전형료 삭감 등 실질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실제 도립 전문대학 등 일부 대학에선 입학전형료를 받지 않고 있다. 국・공립대부터 입학전형료를 인하하고 표준화한 후, 사립대학이 이를 준용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에듀동아 유태관인턴 기자 edudonga@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