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망가진 밭에 좋은 씨앗…열매 맺힐까요?”

수용성교육 창안자 원동연
 
지식 교육 이전에 수용성 먼저 키우는 게 중요
지력·심력·체력·관리·관계 ‘5요소’ 동시 올려야
“예측 불가능한 4차 산업혁명시대 절실한 방법”



원동연(63·사진) KAIST 미래교육연구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미래교육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용성교육(5차원 전면교육)’의 창안자다.

수용성교육이란 그가 20년 전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교 부총장 시절 처음 선보인 교육법으로 지력(Intellectual power), 심력(Mental power), 체력(Physical power), 자기관리능력(Self-management), 인간관계능력(Human relations) 5요소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방법이다.

원래 명칭은 ‘5차원 전면교육’이었으나 KAIST 미래전략연구센터가 올해 초 ‘대한민국 국가미래교육전략’을 펴내면서 ‘수용성교육’이란 이름으로 소개했다.

아무리 좋은 지식, 정보가 있더라도 이를 제대로 분별하고 받아들일 능력이 없다면 손실만 따를 뿐이다. 특히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예상이 불가능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인류에게 끼칠 영향을 먼저 고려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모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수용성을 길러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 같이 이름을 붙였다.

11일 서울 송파구 소재 ‘디아(DIA)글로벌아카데미(수용성교육 대안학교)’에서 만난 원 위원장은 수용성교육을 땅을 갈아 밭을 만드는 것에 비유했다.

씨앗이 싹을 틔우고 나아가 열매까지 맺으려면 밭이 좋아야 가능한 일이다. 밭이 옥토냐 황무지냐에 따라 열매의 품질이 결정될 수밖에 없는데 상당수 학부모들이 이 부분을 놓쳐 교육에 실패한다는 것이다.

원 위원장은 “밭이 망가진 상황에서는 그 어떤 좋은 씨앗을 뿌려도 열매가 맺히지 않는다”며 “학생도 마찬가지다. 학생의 뇌 상태가 지식을 받아들이지 못할 정도로 깨져 있다면 아무리 잘 가르쳐도 머릿속에 저장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밭을 갈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위에서 언급한 다섯 가지 요소다. 5요소가 골고루 상승하면 수용성도 좋아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널빤지를 이어 붙인 원형 물통을 빗댈 수 있다. 다섯 개 널빤지 중 하나라도 빠지면 물은 줄줄 샌다. 한두 가지에 치우친 교육보다 전인격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증명하는 셈이다.

이 같은 교육을 전개한 결과 지난 20년 간 기적 같은 성과를 냈다.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 몽골, 라오스 등 전 세계 12개국에서 교육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던 아이들의 인성, 성적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큰 힘을 발휘했다.



카자흐스탄 디아글로벌학교 모습. ▲ 카자흐스탄 디아글로벌학교 모습. 중국 연길시의 한 중학교 10개 반 중 최하위 학급에 이 교육법을 적용해 1년 만에 1등을 차지했다. 몽골에서는 길거리 아이들의 교육기관인 ‘밝은미래종합학교’가 1997년부터 수용성교육을 도입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이렇다 보니 전국 도서벽지는 물론 전 세계에서 수용성교육 요청이 들어오고 있다. 이를 위해 원 위원장은 원격화상교육까지 구축해 이제 어디서나 수용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동두천여중, 동두천중, 한국문화영상고, 동두천고 등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수용성교육을 성공적으로 접목시키면서 미래교육을 위한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수용성교육이 학생 뇌파 개선에 좋은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 또한 잇따라 도출됐다.

원 위원장은 “20년 간 쌓인 수용성교육의 데이터가 교육의 성패요인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다”면서 “대안학교 뿐 아니라 일반학교에서의 사례는 수용성교육의 일반화 가능성도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어 “10시간을 교육하는 것보다 1시간을 줄여 수용성교육을 도입하면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원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수용성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 누구도 예상할 수 없는 일들이 도래하는 상황 속에서 수용성이 뛰어난 인재야말로 인류를 선하게 이끌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인간이 인간을 먼저 생각하고 사랑하는 인재를 길러야 한다”며 “초연결 사회,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이를 자칫 잘못 이용한다면 재앙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