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중기 인사담당자 57.4% “유난히 이직 잦은 부서 있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57.4%가 “사내에 유난히 이직과 퇴사가 잦은 부서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정 부서의 인원 이탈을 막기 위해 가장 필요한 대책으로 ‘업무량의 조절’을 꼽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373명을 대상으로 부서 인원관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인사담당자 57.4%가 ‘사내에 퇴사, 이직이 다른 부서보다 많은 부서가 있다’고 답했다. ‘특정 부서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퇴사나 이직이 많다’는 응답도 23.9%로 나타나 인사담당자 10명 중 8명은 사내 직원 이탈이 많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체적으로 퇴사나 이직이 많지 않다’는 응답은 18.8%에 그쳤다. 

유난히 직원의 퇴사가 잦은 부서가 있다고 답한 인사담당자들은 그 이유를 특정 부서의 업무 특성에서 찾고 있었다. 잡코리아 조사에서 인사담당자들은 특정 부서의 인원 이탈이 잦은 이유(*복수응답, 이하 응답률) 1위에 ‘특정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56.1%)’를 꼽은 데 이어 ‘야근, 특근 등 타 부서보다 높은 업무 강도(50.5%)’ ‘타 직무 보다 낮은 급여수준(40.7%)’을 차례로 2, 3위에 꼽은 것. 여기에 △부서장/관리자의 리더십 부족 및 관리소홀(29.4%) △팀원∙부서원 간의 팀워크 및 유대감 부족(22.9%) △특정 부서의 문화, 분위기(16.4%)를 탓하는 반응도 있었다. ‘경쟁사∙관계사 등 이직제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부서∙업무 특성(12.1%)’, ‘해당부서의 저조한 실적, 성과 때문에(6.1%)’ 다른 부서에 비해 인원 이탈이 많이 이루어진다는 분석도 있었다.

인사담당자 대부분은 ‘직원의 퇴사, 이직에 대한 별도의 조치나 관리가 필요하다(95.0%)’고 입을 모았다. 

잡코리아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인사담당자들은 가장 필요한 조치(*복수응답)로 ‘업무량 조절’과 ‘금전적 보상 확대’를 꼽았다. ‘조직 내 인력 재배치 및 업무 분배를 통한 업무량 조절이 응답률(47.2%)’로 인사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필요한 조치 1위에 꼽혔다. 2위는 ‘급여 조정 등 금전적 보상확대(45.8%)’가, 3위는 ‘복리후생 확충(43.4%)’이 각각 차지했다. 또 △근무 환경 개선(30.6%) △회식비 지원, 워크샵 마련 등 유대감 강화의 계기 제공(20.1%) △부서장∙관리자에 대한 리더십 훈련(12.5%)도 필요한 조치로 꼽혔다. 그밖에 의견으로는 △조직 및 개인의 성장 가능성∙비전 제시(10.4%) △직원의 개별 의견 수렴을 위한 제도 마련(10.4%) △특정 관리자에 대한 경고 및 교체(8.0%) △기업 문화∙사내 메시지 강화(7.3%) △공정하고 정교화된 평가절차 및 보상체계 마련(6.9%) △사내 커뮤니케이션 강화(1.4%) 등이 있었다. 

특히 인력 이탈 범위를 어떻게 여기는지에 따라 필요한 조치도 달라진다고 잡코리아는 분석했다. 즉 ‘전사적으로 퇴사 문제가 심각하다’고 여기는 인사담당자들은 ‘복리후생 확충(53.0%)’과 ‘금전적 보상 확대(50.6%)’를 가장 필요한 조치로 꼽았다. 반면 ‘특정 부서의 퇴사 문제가 심각하다’고 여기는 인사담당자들의 경우 ‘업무량 조절(48.8%)’과 ‘금전적 보상 확대(43.9%)’를 더 우선시하고 있었다. 

한편 잡코리아는 다른 회사와 비교되는 우리 회사만의 자랑거리, 장점을 만드는 것이 인력 관리에 주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잡코리아가 다른 회사와 비교되는 우리 회사만의 자랑거리가 있는지를 물었을 때 ‘회사 전체적으로 퇴사, 이직이 많지 않다’고 답한 기업의 경우 55.7%가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특정 부서에서 퇴사자가 많다’고 답한 경우에는 43.0%로 그 비중이 낮아졌으며, ‘전사적으로 퇴사가 많다’고 답한 인사담당자들에게서는 34.8%로 크게 낮아졌다. 

▶에듀동아 유태관인턴 기자 edudonga@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