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대학

“졸업 하면 뭐하지” 대학생 60% ‘진로’ 고민 심해…교수 “취업 정보 원해”

2017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학년 올라가면서 “대기업보단 중소기업 취업 희망”
“대학 내 진로지원 조직·인프라 제도적 지원 필요”



대학생 10명 중 6명이 ‘졸업 후 진로 및 취업’이 가장 큰 고민인 것으로 조사됐지만, 교수 역시 ‘취업 정보제공’에 어려움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 내 진로‧취업 인프라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학 진로교육 기반 및 지원체제, 진로 및 취‧창업 관련 인식과 참여 정도 등을 조사한 ‘2017년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그간 초‧중등단계에서 실시해 오던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올해 처음으로 고등교육 단계까지 확대한 것으로, 그 결과는 대학생 맞춤형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및 연구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가장 고민하는 것은 ▲졸업 후 진로(대학생 60.0%, 전문대학생 59.7%) ▲학업(대학생 25.2%, 전문대학생 2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계획에 대해서는 ‘취업(대학생 62.4%, 전문대학생 68.4%)’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아직 잘 모르겠다’는 비율(대학생 22.0%, 전문대학생 15.1%)이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 희망 기업은 ▲공무원‧교사(23.6%) ▲공공기관‧공기업(20.0%) ▲대기업(19.8%) 순이었고 전문대학생은 ▲중소기업(28.4%) ▲대기업(24.6%) ▲공무원‧교사(15.4%)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대학생의 경우 전 학년 평균과 달리 학년이 올라가면서 ‘중소기업’ 희망비율이 지속 상승하고, 전문대학생의 경우 ‘대기업’ 희망비율은 소폭 하락 추이를 보였다. 

교수 역시 학생 진로지원과 관련해 ‘학생 취업처 발굴 및 연계(대학 3.57점, 전문대학 3.29점)’ 등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컸다. 학생의 진로‧취업지도 시 교수가 요구하는 사항들은 ‘진로·취업지도 시간 확보(대학 37.5%, 전문대학 46.5%)’, ‘진로·취업지도를 위한 대학 인프라 구축(대학 34.7%, 전문대학 33.4%)’, ‘진로·취업지도를 위한 활동비 및 인센티브 지원(대학 32.8%, 전문대학 36.8%)’ 등이었다. 



◇학교 단위에서 진로지원 현황 및 애로사항 많아

대학 내 진로지원 조직에 대해서는 ‘알지만 이용한 적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대학생의 경우 ‘진로‧직업탐색 관련 과목(42.8%)’, ‘학과(전공)에서의 진로탐색 과목(39.7%)’ 순으로 수강하고 있었으나, 수강 만족도는 ‘학과(전공)에서의 관련 진로탐색 과목(3.64점)’이 가장 높았다.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지원 서비스의 경험 비율은 ‘학과(전공) 교수와의 진로·취업상담(대학 68.7%, 전문대학 78.4%)’이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항목들은 40% 미만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반수의 학교에서 진로지원 기본계획을 수립(대학 55.8%, 전문대학 64.2%)하고 있고, 본부의 ‘처’ 또는 ‘원’ 단위로 진로지원 조직을 운영(대학 52.9%, 전문대학 64.1%)하고 있었다.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진로지원을 담당하는 인력의 관련 분야 근무 경력이 ‘3년 미만’ 인 경우가 각각 57.4%, 50.4%이었다. 또한 이들의 주된 업무는 진로‧취업 관련 프로그램 운영(대학 4.85명, 전문대학 2.18명), 상담(대학 4.43명, 전문대학 2.08명) 등이었다. ‘연중 상시’로 운영되는 경우는 대학 및 전문대학이 각각 27.9%, 41.2%이었고, 과반수의 학교(대학 60.9%, 전문대학 55.1%)에서 학년과 무관하게 개설하고 있었다.

‘협력이 잘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취업처와의 네트워크’ 부문에서 대학 및 전문대학이 각각 33.1%와 44.2%이었다. ‘지역사회 기관과의 네트워크’ 부문에서는 대학 및 전문대학이 각각 43.5%와 43.3%, ‘졸업생 및 동창회와의 네트워크’ 부문에서는 대학 및 전문대학이 각각 31.9%와 20.0%로 조사됐다.

조직 운영에서는 ‘전문인력 부족(대학 39.6%, 전문대학 39.0%)’이, 교과목 개설에서는 ‘교수 및 학과과목 개설 이해관계(대학 32.5%, 전문대학 35.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진로지원 조직과 학교 교수들 간의 협력에서 ‘학과 교수들의 참여‧협조 부족(대학 85.2%, 전문대학 50.0%)’, 온라인 시스템 운영에서 ‘학생인식 및 활용 저조(대학 45.9%, 전문대학 54.5%)’가 주된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홍민식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은 “이번 조사는 처음으로 대학 진로교육의 현황을 확인한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고등단계의 체계적인 진로교육 정책 방향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며, “조사 결과 중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 나가면서 앞으로도 개인 맞춤형 진로교육정책 지원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