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6 (수)

  • 구름많음동두천 7.3℃
  • 흐림강릉 3.1℃
  • 구름많음서울 9.1℃
  • 구름많음대전 9.4℃
  • 흐림대구 7.4℃
  • 구름많음울산 5.7℃
  • 구름조금광주 10.1℃
  • 구름많음부산 7.6℃
  • 구름조금고창 6.9℃
  • 흐림제주 11.4℃
  • 구름조금강화 7.2℃
  • 구름많음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5℃
  • 구름많음강진군 10.7℃
  • 흐림경주시 5.6℃
  • 흐림거제 9.4℃
기상청 제공

중·고등

[고교학점제②]교사 10명 중 7명 고교학점제 ‘찬성’…“절대평가도 고려해야”

‘고교학점제 위한 학생평가 재구조화 방안’



교사 10명 중 7명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고교학점제를 도입하기 위한 역점 사항으로 ▲내신 절대평가 ▲교사별 학생평가 ▲교원 수급 및 교실 수 확보 등을 꼽았다. 

18일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의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생평가 재구조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지역 고교 교원 2243명 가운데 72.2%(단계적 도입 66.4%·전면적 도입 5.8%)가 고교학점제 도입을 찬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반대가 26.0%, 기타가 1.8%를 차지했다. 이 조사에는 서울지역 교장·교감 83명, 부장·수석교사 393명, 교사(기간제 교사 포함) 1748명, 기타 19명 등이 참여했다. 

교원 2명 중 1명은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학생평가방식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고교학점제를 도입하기 위한 역점사항으로 응답자의 54.3%가 ‘학생평가 방식 개선’을 꼽았다. 

이들이 고교학점제 때 원하는 학생평가는 절대평가 방식이었다. 고교학점제를 도입할 경우 학생평가 방식으로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떠한 학생평가 방식이 타당한가 하는 질문에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 방식이 타당하다는 의견이 80.8%를 차지한 것. 반면에, 상대평가인 현행 석차 9등급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13.9%에 그쳤다. 

성취평가제를 찬성하는 의견 가운데 42.8%는 ‘단계적 적용’을 찬성했다. 이어 ▲5등급 성취평가제 전면 적용 38.0% ▲각 교과별 특성을 고려해 일부 교과에 5등급 성취평가제 우선 적용 33.8% ▲소인수 과목이나 학교 간 연합(공동) 교육과정 과목에서 5등급 성취평가제 우선 적용 9.0% 등이었다. 김 연구원은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교육의 본질’ 차원의 관점에서 나 과목 선택의 ‘쏠림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가 타당하다는 의견이 다수이지만, 대학입시 선발을 위한 ‘변별력’ 확보 차원에서는 전면 도입보다는 단계적 접근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학생평가 방법에서는 수업별·교사별 자율 평가 방식이 타당하다는 의견이 높았다. 즉, 교사가 자신이 지도하는 수업의 학생평가권을 개별 및 자율적으로 가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는 교사들은 68.6%나 해당됐다. 

학년단위 일제평가 방식이 타당하다는 의견은 19.5%에 불과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학년단위 평가와 수업별ㆍ교사별 평가를 병행해야 한다 ▲학생평가단위는 학교별·교과목별 특성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과전문가와 현장교사 의견 등을 모아 가이드라인을 정해야 한다 등이 있었다. 



교원 수급 및 교실 수 확보도 고교 학점제 시행을 위해 선결해야 할 사항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79.2%가 이를 최우선으로 선택했다. 그 뒤로 ▲고교 내신 상대평가제 개편 44.2% ▲교사, 학부모 등 학교현장 홍보 및 의견 수렴 40.5% ▲과목선택형 교육과정 과목 개발 33.1% ▲수강신청 및 수업시간표 편성 지원을 위한 NEIS 시스템 개편 30.5% 등의 순이었다. 김정빈 교육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조사 결과를 보면, 특히 ‘교원 수급 및 교실 수 확보’라는 고교학점제의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에 80%에 육박하는 절대적 다수 의견(79.2%)이 집중된 점이 눈에 띈다”며 “고교학점제 도입 방안에서 핵심적 선결사항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재이수제 도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팽팽한 의견 차이를 보였다. 재이수제는 F학점을 받은 학생은 대학처럼 해당 과목을 다시 듣는 방식이다. 이어 ▲전체 교과에 대해 재이수제를 적용해야 한다 30.2% ▲공통필수교과에 대해서만 재이수제를 도입해야 한다 24.6% ▲재이수제 도입을 반대한다 24.2% ▲재이수제보단 필수교과에 대해서만 대체교과 이수나 보충교육 후 이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4.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재이수제를 하더라도 방학과 방과 후를 이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 연구원은 “재이수제는 학생평가에서 F학점을 부여하는 문제와 결부되어 있긴 하지만, F학점 부여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재이수 제도를 도입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재이수제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그 방식이 한 가지인 것도 아니다”며 “재이수제 도입 여부는 각국의 여건과 문화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고교학점제 시행에서 위와 같은 조사 결과를 참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교과영역별로 최소한의 필수 이수 학점을 설정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77.6%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공통필수교과 이외에 교과영역별 필수이수학점 설정은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19.9%에 그쳤다. 김 연구원은 “고교학점제의 도입 취지가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에 있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고등학교 수준에서의 교과별 최소 필수 학습 내용을 도외시할 수는 없다”며 “전문가 다수는 균형 있는 학생 성장을 위해 교과영역별로 최소한의 필수 이수학점을 설정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