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평창 올림픽의 상징 ‘호랑이’와 함께 동아시아 문화 ‘한 눈에’ 보자!



국립중앙박물관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중국 국가박물관과 공동으로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韓國(한국)·日本(일본)·中国(중국)-’ 특별전을 개최한다. 

호랑이는 평창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수호랑)이자 한민족 신화의 상징으로, 동아시아에서 백수의 왕으로 여겨진 신성한 동물이다. 호랑이를 주제로 한 특별전은 국립중앙박물관이 1998년에 개최한 ‘우리 호랑이, 虎’전 이후 20년 만에 열리는 것. 특히 이번에는 일본과 중국의 호랑이 미술 대표작을 포함하여 동아시아권의 호랑이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한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시에서는 삼국의 고대부터 근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원시신앙과 도교·불교 관련 호랑이 작품은 물론, 생활 속에서 다양한 의미로 변주된 작품 등 한·일·중 회화 38건, 공예 58건, 조각 5건, 직물 4건, 총 105건 145점을 선보인다.  


○ 한·중·일 대표작 한 자리에 모여 

한국의 명품인 김홍도(1745~1806)의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와 ‘죽하맹호도竹下猛虎圖’ 작품을 포함,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맹호도猛虎圖’ 3점을 한자리에 모은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또 현존하는 조선 호랑이 그림 중 가장 큰 그림인 ‘용호도龍虎圖’도 짝을 이뤄 선보인다. 이는 조선 말 관청의 문비門扉나 대청에 붙이는 세화歲畫로 추정되는 대형 걸개그림으로 거침없는 용필과 용묵을 보여주는 걸작이다.

일본의 작품으로는 무가武家의 사랑을 받으며 유행했던 용호도의 대표작으로, 소가 조쿠안(曾我直庵)와 가노 미치노부(狩野典信)의 ‘용호도龍虎圖’ 6폭 병풍이 전시되고, 사생력과 장식성을 갖춘 개성적인 화풍의 마루야마 오쿄(圓山應擧)의 ‘호소생풍도虎嘯生風圖’도 선보인다. 일본 특유의 화려하면서도 장식적인 작품들이 눈길을 끈다. 

중국 작품으로는 오래된 호랑이 숭배문화를 보여주는 상대의 옥호를 비롯하여 호랑이 토템을 보여주는 지배층의 무기, 호랑이 도자베개 등의 벽사와 호신을 기원하는 다양한 공예품이 출품되어 유구한 호랑이 신앙과 미술의 역사를 보여준다. 

전시는 모두 5부로 한국, 일본, 중국의 호랑이 미술과 삼국의 걸작비교, 그리고 동아시아 근현대의 호랑이로 구성된다. 전시의 첫머리인 제1부 ‘한민족의 신화, 한국의 호랑이’는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의 호랑이에 대한 신앙과 외경심이 표출되었던 고분미술의 백호와, 불교미술의 산신과 나한을 묘사한 작품, 군자와 벽사의 상징으로 그려진 회화 등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제2부인 ‘무용武勇과 불법佛法의 수호자, 일본의 호랑이’에서는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이후 선종 사찰과 무가의 후원으로 유행하였던 용호도와 무용과 길상의 의미로 호랑이가 장식된 무기와 복식, 도자기, 장신구를 만날 수 있다. 제3부인 ‘벽사辟邪의 신수神獸, 중국의 호랑이’에는 사신과 십이지와 같이 수호자로서의 호랑이 개념이 성립되었던 중국 고대의 작품들과 이세탁의 호랑이 지두화와 옹동화(1830~1904)의 서예작품 등이 전시된다. 제4부인 ‘백중지세伯仲之勢, 한일중 호랑이 미술의 걸작’에서는 한국 조선의 ‘용맹한 호랑이(猛虎圖)’와 일본 에도시대(1336-1573)의 ‘유마용호도維摩龍虎圖>’ 중국 상나라의 ‘호랑이 장식 꺾창(靑銅虎首形內戈)’이 전시되어 삼국의 호랑이 미술의 특징을 대표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전시의 마지막인 제5부 ‘전통傳統과 변주變奏, 동아시아 근현대의 호랑이’는 호랑이 미술의 전통을 계승하거나 근·현대 문화 속에서 호랑이를 새롭게 해석한 근현대 작품을 보여준다.


○ 삼국 호랑이 미술의 차이점도 알 수 있어 

이번 전시를 통해 알 수 있는 삼국 호랑이 미술의 공통점은 삼국 모두 호랑이가 수호신, 군자, 전쟁과 무용을 상징하고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생각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한국과 일본에 전파되어, 동아시아가 공유하는 호랑이의 주요 덕목이 되어 20세기까지 지속되었다. 호랑이 신화와 설화가 많았던 한국의 미술에서는 신통력을 지닌 기백 있는 영물로, 또 해학적이면서도 인간미 넘치는 친구로 등장해, 맹호도에서부터 호작도와 같은 희화화된 호랑이 민화가 크게 사랑받았다. 그에 반해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았던 일본의 경우, 선종 사원으로 유입된 중국 송대(960~1279) 용호도의 영향으로 용호도 형식이 유행했다. 특히 불교 또는 도교의 존상과 용, 호랑이를 결합시킨 3폭의 용호도는 일본 호랑이 미술만의 특징을 보여주는 등 이번 전시에서는 각국의 호랑이 미술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일·중 국립박물관은 국립박물관장 회의와 연계하여 2014년부터 2년마다 전시를 공동개최해왔으며, 이번 전시가 세 번째 특별전이다. 앞선 두 차례의 전시와 마찬가지로 이번 전시 역시 삼국의 문화교류 활성화를 도모하고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전시 구성은 전시를 개최하는 순서에 따라 한국·일본·중국의 순으로 배치되었다.  


○ 연계 행사도 ‘풍성’  

연계 행사도 다양하게 마련되어있다. 먼저 전시 개막일인 2018년 1월 26일(금)과 31일(수)에 삼국의 호랑이 미술을 주제로 한 학술특강이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개최된다.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는 호랑이 그림동화책에 나오는 그림과 이야기를 중심으로, 어린이 관람객이 재미있게 참여하며 체험할 수 있는 ‘어흥, 저는 호랑이입니다’라는 특별전 연계 체험전시를 2018년 1월 26일(금)부터 5월 31일(목)까지 진행한다. 또한 호랑이 관련 도서 및 학술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에서는 1월 26일부터 ‘책으로 보는 기획특별전’ 코너가 운영된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 내에 위치한 극장 용에서는 김홍도가 화첩기행을 떠나 ‘맹호도’를 그리게 된 이야기를 창작 판소리 음악극으로 꾸민 연계공연이 2018년 3월 10일(토)과 11일(일) 저녁 이틀에 걸쳐 펼쳐진다.  

이번 전시의 또 다른 감상 포인트는 3채널의 스크린X 영상으로 제작된 호랑이 다큐멘터리 영상이다. 과거 동아시아인들이 호랑이에게 품었던 경외와 찬탄, 두려움을 현대인이 경험할 수 있도록 러시아와 중국의 야생의 산과 들에서 박종우 감독이 촬영한 ‘호랑이, 우리 안의 신화’를 전시실 입구 영상실에서 상영한다. 이는 우리 내면 깊숙이 숨어있는 신화 속 호랑이를 다시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에듀동아 김지연 기자 jiyeon01@donga.com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