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뉴스

[단독] 교육부 공식소통창구라더니… 외면받는 ‘온교육’

-2000만원 들였지만… 2018년 이후 이용 급감
-“SNS채널 소통이 더 효율적” 조만간 닫을 듯


기사 이미지
교육 분야 대국민 온라인 소통을 위해 교육부가 지난 2017년 말 개설한 온교육 홈페이지 내 설문참여란이 비어있는 모습. /온교육 홈페이지 캡처


지난 2017년 말 교육 분야 대국민 온라인 소통을 위해 수천만원을 들여 개설한 교육부의 ‘온교육’ 홈페이지가 학생과 학부모들에게서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에도 반응이 뜨거웠던 ‘청와대 국민소통 광장’을 본떠 만들었지만, 홈페이지 기능 관리와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용률이 급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18일 본지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단독 입수한 ‘온교육 홈페이지 운영현황’에 따르면, 온교육에 올라온 게시물 수는 2018년 184건에서 올해 53건으로 크게 줄었다. 약 71%가 감소한 것이다. 특히 ‘국민참여 정책숙려제’ 운영이 사실상 중단된 2019년부터 홈페이지 활용도가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교육부는 교육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국민과 함께 미래교육을 만들어가겠다는 취지로 2000만원을 들여 홈페이지를 구축했다. 핵심 기능은 ‘여론 수렴’과 ‘국민 참여 토론’이다.

온교육의 여론 수렴 기능은 주로 홈페이지 내 설문참여란을 통해 운영됐다. 2018년 교육부는 온교육을 통해 현장밀착형 교육아이디어를 공모하는 등 총 6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우수 공모자를 대상으로 시상계획도 마련했지만, 전체 설문조사 참여인원은 304명에 그쳤다. 이후로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지 않았다. 여론 수렴 기능이 사라진 셈이다.

국민 참여 토론 활성화에 교육부가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온교육 개설 당시 교육부는 “국민의 관심과 참여가 많은 토론이나 건설적인 제안에 대해 실·국장은 물론 담당 실무자까지 정책 환경과 방향, 제안사항 반영 여부 등을 직접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까지 토론광장란에 올라온 분야별 교육정책 제안은 별다른 설명 없이 방치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 3년간 온교육을 활용해 실제 교육정책에 반영한 사례는 단 한 건에 불과하다. 2018년 교육부는 국민참여 정책숙려제를 운영하며 온교육 정책생각함란을 적극 활용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신뢰도 제고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교육부가 지난해 11월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학생부 비교과영역과 자기소개서 반영 여부를 손질하는 등 변화가 있었다.

교육부는 이처럼 공식소통창구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온교육 홈페이지를 조만간 닫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SNS 채널 활성화로 더욱 효율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해 (온교육의 기능을) 점차 SNS 채널의 기능으로 대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교육부가 운영 중인 SNS 채널은 ▲페이스북 ▲네이버 밴드 ▲블로그 ▲트위터 ▲카카오톡 플러스 ▲유튜브 ▲카카오스토리 ▲포스트 등 총 8개다. 15일 기준 교육부 SNS 채널 전체 구독자 수는 39만3145명으로, 이 중 페이스북 구독자 수가 13만7902명으로 가장 많다.

lulu@chosun.com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