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에듀팡 한자&명언] 拘 碍 (구애)



[에듀인뉴스=인터넷뉴스팀 ]


 拘 碍
*잡을 구(手-8, 3급) 
*거리낄 애(石-13, 2급)


‘자료가 부족해서 논문을 쓰는 데 구애를 받았다’의 ‘구애’는? ❶求愛, ❷拘碍, ❸九閡, ❹九愛. 답이 ❷번인 줄 알아도 각 글자의 속뜻을 모르면 헛일이니 ‘拘碍’를 속속들이 파보자. 



자는 손으로 ‘잡아끌다’(pull; draw)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손 수’(手)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句(글귀 구)는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참고, 鉤 갈고랑이 구). 후에 일반적인 의미의 ‘잡다’(catch)로 확대 사용됐다. 


의 본래 글자는 礙다. 이것은 ‘거리끼다’(hindered by)는 뜻을 위하여 고안된 것이니, ‘돌 석’(石)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길에 놓인 돌이 걷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이었으니 그렇게 하였을 것이다. 疑(의심할 의)는 발음요소였다고 한다. 이것의 속자인 ‘碍’가 唐(당)나라 때부터 자주 쓰인다.



 


拘碍 ‘거리끼거나[拘] 얽매임[碍]’을 이른다. 양심에 거리낌이 없어야 함을 역설한 명언을 소개해 본다. 중국 명나라 때 유명 소설가의 말이다. 


“양심에 거리끼는 일은 하지를 마오. 
 예로부터 지금까지 
 징벌을 면한 자 몇이나 되오”



 勸君莫作虧心事, 
 古往今來放過誰


                                 - 馮夢龍


 


● 글쓴이: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속뜻사전(앱&종이) 편저자,
   선생님 한자책 저자, 
   우리말 속뜻 논어, 금강경 역자,
   VBS 박보 발명권자.


▶【첨언】 
  한글만 쓰자는 한글 전용은 
  한자어라도 한글로만 포장하자는 것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