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에듀팡 한자&명언] 聖餐 (성찬)

[전광진의 한자&명언] 聖餐 (성찬)

[에듀인뉴스=장도영 기자] 


 


  聖 餐
*성스러울 성(耳-13, 4급) 
*밥 찬(食-16, 2급)


“예수와 제자들의 최후 만찬을 성찬이라고 하지만 성찬은 아니었다.”에 ‘성찬’이 두 번 나온다. 한글만 아는 사람들은 그 의미 차이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먼저 ‘聖餐’에 관하여 공부해 보자. 


자는 갑골문에서는 서 있는 사람[人]의 상단에 귀[耳․이] 모양이 첨가되어있는 형체(口자가 첨가된 것도 있음)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귀’가 매우 강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스럽다’(divine) ‘현명하다’(wise)는 뜻으로 쓰인다.


자는 음식물을 ‘삼키다’(swallow; gulp)가 본뜻이니 ‘먹을 식’(食)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그 나머지가 발음요소임은 粲(정미 찬)도 마찬가지다. 후에 ‘음식’(food; refreshments) ‘샛밥’(between-meals refreshments)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聖餐(성:찬)은 ‘성(聖)스럽게 차려진 최후의 만찬(晩餐)’을 이런다. ‘푸짐하게 잘 차린 음식’도 ‘성찬’이라 하는 데 이것은 ‘盛饌’(성할 성, 반찬 찬)이라 쓴다. 
아무튼, 식사 자리에 앉을 때마다 꼭 염두에 둘 명언이 있다. 조조의 아들이 남긴 것이다.


 


“자리만 지키며


공밥을 먹으면서, 
 어떻게 세상에


이름을 떨치랴!”
 尸位素餐, 
 難以成名 - 曹植.


● 글쓴이: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첨언]
  세종대왕은 한자를 잘 알았기 때문에 
  한글을 만들 수 있었고, 
  우리는 한자를 알아야 
  한글도 잘 쓸 수 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