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에듀팡 교육정보]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갈 학생을 위한 교육은

인공지능 시대라고 한다. 인공지능 세탁기, 인공지능 에어컨, 인공지능 냉장고 등 인공지능이라는 단어가 없으면 구식의 제품처럼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 인공지능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정확히 알고, 제값을 지불하는 소비자가 몇 명이나 될까? 지금 가전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에 가서 인공지능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을 구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 현명한 소비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은 무엇일까?

 

2022년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학생의 삶을 중심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구성한다고 한다. 많은 사람이 사회가 변화할 것임을 알고 있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역량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라는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가 어느 교과목에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결정이 필요한 시기다.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많은 교과(목)에서는 각자의 교과(목)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생활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 교과(목)이 늘어나고 있다. 인공지능은 특정 교과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교과에서 골고루 나눠서 가르치거나 각 교과에 해당하는 내용을 분산시켜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 오간다. 아마 인공지능을 여러 교과로 분산시켜서 가르치게 되면, 학생은 맹인이 코끼리를 만지는 형상일 것이다. 여러 과목에서 만져보고, 퍼즐을 맞춰야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궁금증이 생긴다. 왜 한 과목에서 인공지능의 원리와 개념을 책임지고 가르치는 대신 학습 내용을 쪼개거나 모든 과목으로 나눠서 가르치려고 하는 것인지 말이다. 기본적인 개념이나 원리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용하고, 인공지능 비서를 사용하는 것을 단편적으로 배워서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

 

인공지능을 가르치기 위한 여러 이야기를 들으면서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라는 속담이 생각난다. 인공지능 사회를 살아가는데 ‘비빌 언덕’이 되는 것은 바로 인공지능에 대한 원리나 개념에 대해 제대로 알게 하는 것이다. 아무것도 알지 못하고 배우지 못한 상태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휴대폰 사용법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세탁기 이야기를 다시 언급해 보겠다. 인공지능 세탁기의 경우 세탁기 사용에 대한 구매자의 다양한 습관을 학습해서 구매자가 세탁물을 넣으면 알아서 세탁의 방식을 조정해줘야 한다. 아마 구매자는 그 세탁기에 100번, 200번, 1000번 정도 다양한 세탁물을 세탁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 해도 인공지능 세탁기는 정확하게 구매자가 원하는 형태의 세탁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인공지능 사회를 살아가는데 현명한 소비자가 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기본적인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학습이 선행돼 한다는 것이다. 세탁기 사용법만으로 혹은 자율주행 자동차를 사용할 때 윤리를 배워서 인공지능을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SW)교육을 강조하고,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로의 전환을 대대적으로 언급했지만 그 결과는 미비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12시간 배우던 것을 17시간으로 늘렸고, 중학교에서 3년간 34시간이 필수가 됐다. 한국의 학생들은 12년 동안 12,726시간 중, 공식적으로 51시간만을 필수로 ‘정보’교육을 받고 있다. 

 

정보교육을 받지 않아도 기본적인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배우지 않아도 인공지능 사회를 살아가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우리가 모두가 좋은 집안 환경에서 다양한 사교육을 받고, 훌륭한 학업 정신으로 무장하여 인공지능 사회를 잘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집안 환경이나 배경으로 인한 경험의 차이로 누군가 소외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공교육은 국민이 일상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줘야 한다. 그래서 일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교과 이기주의나 기성세대의 무지로 인해 개정된 교육과정을 배워야 하는 학생들이 피해자가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공교육을 통해 차별없이 인공지능 교육을 받고,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 모두가 자기 삶의 주인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