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2.5℃
  • 흐림강릉 21.4℃
  • 서울 23.6℃
  • 대전 23.7℃
  • 구름많음대구 23.4℃
  • 흐림울산 23.6℃
  • 흐림광주 23.4℃
  • 구름많음부산 23.8℃
  • 흐림고창 23.3℃
  • 흐림제주 26.4℃
  • 구름많음강화 23.3℃
  • 흐림보은 22.0℃
  • 흐림금산 23.6℃
  • 흐림강진군 24.1℃
  • 구름많음경주시 22.5℃
  • 구름많음거제 23.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에듀칼럼] 누구도 만족 못하는 대학입시, 최선은 무엇일까?

공부코치 윤태황의 공부 편지 ④ 입시를 바라보는 자세

대학입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연례행사 중 하나야. 수능날, 직장인들의 출근 시간은 늦춰지고, 영어듣기평가 시간에 비행기는 뜨지 않아. 수능의 난이도는 중요한 이슈지. 주요 일간지는 매년 대학 순위를 발표해. 작년에는 영어 4등급 학생이 서울대에 합격하자 주요 뉴스가 되었잖아? 

대학입시는 항상 논란이 돼. 학생부종합전형은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이 있고, 수능 점수가 당락을 좌우하는 정시 전형은 공교육을 죽인다고 비판을 받아. 논술 전형도 선행 학습 및 사교육을 조장한다고, 특기자 전형은 특목고만의 리그라고 비판받지. 

○ 판을 뒤집어 보았어 
학력고사 시절과 수능 초기에는 오로지 성적으로 학생을 뽑았지. 사교육을 덜 받던 시절에는 그렇다 할 비판이 없었는데, 사교육 시장이 커지면서 공교육을 죽인다는 비판이 나왔어. 내신 성적이 대학 입시에 영향을 주지 못하니,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 집중하지 않는 거야. 학생들이 학교에서 잠을 자고 학원이나 독서실에 가서 공부를 한다는 거지.

수능 점수로만 학생을 뽑는 정시 전형에 변화를 줬어. <수시 전형>이 생긴 거야. 수능 점수가 조금 모자라도 학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대학이 선발해. 그게 바로 <학생부 교과전형>이지. 수도권이나 광역시처럼 사교육이 풍부한 곳이 아닌, 중소도시나 시골에서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전형이야.

과학고나 예술고처럼 특목고 학생들은 특별한 재능이 있어서 뽑혔는데, 입시철이 되면 수능 공부를 해야 했어. 수능의 수학, 과학 난이도는 그들이 공부하는 수준을 따라가지 못했지. 국제 올림피아드 대회에서 수상하거나 국위를 선양하는 등 특별한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미리 선발하는 전형이 필요하겠지? <특기자 전형>이야.

학생을 선발할 때, 꼭 성적으로만 뽑아야 해?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인재를 원하는데, 대학은 언제까지 국영수 성적으로만 학생을 줄 세울 거냐는 말이지. 자신의 의견을 글로써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학생을 <논술 전형>으로 선발했어. 특기자까지는 아니지만 수학, 과학 사고가 뛰어난 학생을 <이과 논술 전형>으로 선발해.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단 말이야. 학교에서 국영수 공부만 하니? 동아리 활동도 하고 봉사활동도 하잖아. 전인적 인간이 되어라고 교육하잖아. 자신의 꿈을 위해 열심히 활동한 학생의 노력을 입시에서 반영해 줘야 하지 않겠어? 그래서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면접을 진행하는 <학생부 종합 전형>이 생겼지. 

고등학교 생활은 소홀했더라도 재수생들에게 패자부활전은 줘야 하지 않잖아? 재학생들 중에서도 내신이 뛰어난 것도 아니고, 학교생활을 적극적으로 한 것도 아니지만, 대학은 가야 하는 학생이 있잖아? 고3 때 갑자기 철들어서 대학 가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하니? 그래서 정시 전형을 30%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지. <정시 전형>이야.

○ 입시는 복잡하다 
요즘만큼 대학입시가 복잡한 시절이 없어. 수시 전형과 정시 전형이 있고, 수시 전형 안에 학생부 교과 전형, 학생부 종합 전형, 논술 전형, 특기자 전형, 적성고사 전형 등이 있지. 재외국민 전형도 있고 농어촌 전형도 있어. 새터민 전형도 있어. 특정 종교를 우대하는 전형도 있고, 만학도를 우대하는 전형도 있어. 

이렇게 많은 전형들이 왜 생겼을까. 수능 성적 하나 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건 불합리하다는 사회 여론에 의해 생겨났을 거야. 요즘 입시가 불공정하다고 말을 하지만, 과거의 수능 줄 세우기는 공정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 경쟁이 있는 한, 불만은 항상 존재한다 
인구가 줄고 학생 수가 줄어서 대학이 서로 학생을 모셔가려고 한다면, 불만은 없어질 거야. 오히려 더 많을 수도 있겠다. 다만, 그 불만은 ‘선발’에 대한 불만은 아닐 거야. 대학의 교육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겠지.

여전히 대학은 갑이고 학생은 을이야. 특정 대학을 서로 가려고 노력하지. 논술 전형의 경우 경쟁률이 수십대 일이잖아? 대학이(특히 일부 대학이) 희소한 가치를 가지는 이상, 대학의 ‘학생 선발 룰’에 대한 공정성 시비는 끊이지 않을 거야. 

우리는 생각을 바꾸어야 해. ‘나’ 중심으로 입시를 바라보면 입시는 불합리할 수밖에 없어. 내신 경쟁이 치열한 학교의 학생들은 <학생부 교과 전형>은 불합리한 전형이라고 항의할지 몰라. 수능처럼 전국의 모든 학생이 동일한 시험을 봐서 등수를 매기는 것이 진정한 공정성이라고 주장할 거야. 교육 환경이 열악한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정시 전형>이나 <논술 전형> 준비가 미흡하다고 하소연할지 몰라. 특목고 학생들은 <특기자 전형>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겠지. 

○ 대학은 어리석지 않다 
대학은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 대학은 어리석지 않아. 우수한 학생을 선발해서 그들이 대학의 이름을 높이고 명성과 소문이 고등학생들에게 전달되어 다시 우수한 학생이 입학하는, 선순환을 꿈꿀 거야.

요즘 면접 고사가 늘고 있지? 논술은 글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했다면, 면접은 말로 자신을 표현해. 5-10분만 대화를 나누어도 학생에 대한 대략적인 파악은 될 터인데, 20-30분 면접을 보거든. 고3 학생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면접장에서 ‘탈탈탈 털린다’라고 해. 전공 지식부터 인성까지 다양한 분야의 질문과 답변이 오고 가지.

수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에 대한 평가는 많은 조사가 진행되었어. 선발 당시 수능 성적은 비록 낮을지라도 학교 생활 적응도나 향후 발전도는 앞서서, 졸업 때는 정시 전형 학생들과 수준이 같거나 앞선다는 결과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지. 

○ 입시는 이런 것이다 
우리는 고등학생이 되면서 ‘나는 교과 전형으로 대학 가야지’, ‘나는 정시 전형으로 대학 가야지’, ‘나는 논술 전형으로 대학 가야지’라며 정해놓고 학교생활을 시작하지 않아. 열심히 고등학교 생활을 하다 보니, 고3이 되어 나는 <학생부 교과 전형>을 써야겠구나, 나는 <학생부 종합 전형>을 써야겠구나를 결정하게 되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나는 <학생부 종합 전형>을 쓰겠다’라고 생각하여 주도면밀하게 움직인 학생이 있을 수도 있어. 그 전략이 참 대단해 보이는군. 아주 칭찬해. ‘누가 나에게도 저렇게 조언을 해줬다면 나도 입시를 더 잘 준비했을 텐데’라며 부러워하고 시기하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그래서 저 학생이 학생 생활을 성실히 하지 않았나’라는 부분이야.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처럼, 저 학생이 학교 생활을 성실히 한 후 <학생부 종합 전형>을 선택했든, <학생부 종합 전형>을 선택한 후 학교 생활을 성실히 했든, 저 학생이 학교 생활을 성실히 한 부분은 바뀔 수 없는 ‘팩트’가 되지. 

학생들에게 항상 강조하는 게 있어. 일단 학교 생활을 성실히, 열심히 해야 한다고. 열심히 노력한 후에 결과를 가지고 대학 입시를 이야기해야지, 노력도 하지 않고 입시 현실이 이렇다 저렇다 말하는 것은 단순한 불만에 지나지 않는다고.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입시 전략을 세워 학교 생활을 했다면, ‘복잡한 입시 전형’이 그 학생에게 고등학교 생활의 목표와 의미를 부여해 줘. 고등학교 생활을 열심히 했는데 수능 점수가 조금 부족하여 고민인 학생에게는 ‘복잡한 입시 전형’이 <학생부 종합 전형>이라는 돌파구를 마련해 주지. 고1, 2 때 펑펑 놀다가 고3이 되어 정신 차린 학생에게는 ‘복잡한 입시 전형’이 <정시 전형>이라는 마지막 대안을 줬어. 다른 과목은 싫지만, 수학을 유독 좋아하는 학생에게 <논술 전형>의 기회를 줬고. 

무엇이 공정이고 무엇이 불공정일까. 세상은 변하고 대학 입시도 변해. 입시의 변화는 당장 무엇이 최선인지 판단이 어렵고 우리가 힘을 쓸 수 있는 영역도 적지만, 우리는 주어진 현실에서 최선을 찾는다면, ‘나’의 대학 입시도 분명 최선의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거야. 

컵에 물이 반만 남았을까 반이나 남았을까. 선택은 우리의 몫이야.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